“우리 회사는 괜찮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이 전국민 정보 유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최근 KARA 랜섬웨어 그룹이 예스24를 포함한 국내외 주요 기업을 공격한 사실이 드러나며, 사이버 보안에 대한 경각심이 다시금 커지고 있습니다.
📌 목차
1. 💀 KARA 랜섬웨어란 무엇인가요?
KARA는 2024년 말부터 활동을 본격화한 신종 랜섬웨어 조직입니다. 이들은 공격 대상 기업의 내부 시스템에 침투해 파일을 암호화하고, 복호화 키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금전을 갈취합니다.
📌 특징 요약:
- KARA는 일반적인 파일 암호화 외에도 기업의 고객 정보, 재무자료, 내부 이메일까지 탈취 후 이를 암시장에서 판매하겠다고 협박합니다. - 비트코인 또는 모네로(XMR) 기반으로 몸값을 요구하며, 한국 기업도 주요 타깃입니다.
- KARA는 일반적인 파일 암호화 외에도 기업의 고객 정보, 재무자료, 내부 이메일까지 탈취 후 이를 암시장에서 판매하겠다고 협박합니다. - 비트코인 또는 모네로(XMR) 기반으로 몸값을 요구하며, 한국 기업도 주요 타깃입니다.
🧬 어떤 방식으로 공격이 이뤄지나요?
- ① 내부 직원 계정 탈취 → VPN 접근
- ② Active Directory 권한 탈취
- ③ 정기 백업 파일 삭제 후 데이터 암호화
- ④ 랜섬노트 생성 및 금전 요구
특히 국내 보안이 허술한 SaaS·e커머스 기반 기업이 주요 표적입니다. 바로 그 대표적인 사례가 예스24입니다.
2. 📚 예스24 랜섬웨어 사건 정리
2025년 6월 9일, 국내 대표 서점 플랫폼 예스24가 랜섬웨어 공격으로 내부 시스템이 마비되고, 회원 정보 일부가 유출된 정황이 포착되었습니다.
항목 | 내용 |
---|---|
공격일시 | 2025년 6월 9일 |
공격 주체 | KARA 랜섬웨어 조직 |
영향 범위 | 회원 로그인 불가, 주문 시스템 마비 |
유출 의심 정보 | 이메일, 주문 내역, 로그인 기록 |
복구 기간 | 약 5일간 주요 서비스 중단 |
예스24 측은 즉시 사이버수사대에 수사 의뢰했으며, 고객들에게 비밀번호 변경 및 의심 로그인 감시를 요청했습니다.
🔒 알고 계셨나요?
예스24는 국내 최대 회원수를 가진 온라인 서점입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해킹이 아니라 수많은 고객의 개인정보가 암호화된 채로 유출된 심각한 위협입니다.
예스24는 국내 최대 회원수를 가진 온라인 서점입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해킹이 아니라 수많은 고객의 개인정보가 암호화된 채로 유출된 심각한 위협입니다.
3. ❓ Q&A – 자주 묻는 랜섬웨어 보안 질문
Q1. 랜섬웨어는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나요?
일반 백신 프로그램은 알려진 랜섬웨어만 막을 수 있습니다. 이메일 첨부, 압축파일 실행 차단 등 행위 기반 방어가 중요합니다.
일반 백신 프로그램은 알려진 랜섬웨어만 막을 수 있습니다. 이메일 첨부, 압축파일 실행 차단 등 행위 기반 방어가 중요합니다.
Q2. KARA는 한국만 노리나요?
아닙니다. KARA는 글로벌 조직으로 미국·일본·동남아까지 공격을 확대하고 있으며, 한국은 특히 보안 수준이 낮은 중견기업이 많아 주 타깃입니다.
아닙니다. KARA는 글로벌 조직으로 미국·일본·동남아까지 공격을 확대하고 있으며, 한국은 특히 보안 수준이 낮은 중견기업이 많아 주 타깃입니다.
Q3. 랜섬머니를 주면 정말 복호화되나요?
일부 조직은 복호화 키를 주지만, 금전만 받고 무시하거나 추가로 돈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절대 신뢰할 수 없습니다.
일부 조직은 복호화 키를 주지만, 금전만 받고 무시하거나 추가로 돈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절대 신뢰할 수 없습니다.
Q4. 어떤 파일부터 백업해야 하나요?
고객DB, 회계 자료, 내부 계약서, ERP 백업본 등 복원에 시간과 비용이 큰 항목부터 정기적으로 클라우드 또는 오프라인 백업이 필요합니다.
고객DB, 회계 자료, 내부 계약서, ERP 백업본 등 복원에 시간과 비용이 큰 항목부터 정기적으로 클라우드 또는 오프라인 백업이 필요합니다.
Q5. 사내 VPN이 오히려 위험한가요?
안전한 VPN은 도움이 됩니다. 다만, 직원 계정이 탈취된 상태에서 VPN 접속이 이뤄지면 외부자도 내부망에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므로 다중인증(MFA)이 필수입니다.
안전한 VPN은 도움이 됩니다. 다만, 직원 계정이 탈취된 상태에서 VPN 접속이 이뤄지면 외부자도 내부망에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므로 다중인증(MFA)이 필수입니다.
Q6. 구글 드라이브, 네이버 클라우드는 안전한가요?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외부 공유 설정이 열린 경우 랜섬웨어가 감염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어 클라우드 정책 설정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외부 공유 설정이 열린 경우 랜섬웨어가 감염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어 클라우드 정책 설정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Q7. 피해 사실을 꼭 신고해야 하나요?
네. 과기정통부, 경찰청 사이버수사대, KISA 등 국가기관에 신고하면, 피해 범위 분석과 법적 대응에 도움이 됩니다.
네. 과기정통부, 경찰청 사이버수사대, KISA 등 국가기관에 신고하면, 피해 범위 분석과 법적 대응에 도움이 됩니다.
4. ✅ 피해 예방 체크리스트
점검 항목 | 필수 여부 |
---|---|
주 1회 이상 주요 DB 백업 수행 | ✅ |
이메일 첨부파일 자동 실행 제한 | ✅ |
직원 대상 연 2회 이상 보안 교육 | ✅ |
다중 인증(MFA) 적용 | ✅ |
외부 USB 저장장치 사용 제한 | 🔄 가능시 적용 |
클라우드 접근 권한 분리 및 기록 | ✅ |
5. 🔐 기업용 보안 대응 전략
KARA와 같은 고도화된 랜섬웨어 위협에 대비하려면 기술뿐 아니라 전사 차원의 대응 체계가 필요합니다.
- 🛡️ EDR/XDR 솔루션 도입: 비정상 행위 탐지 및 차단
- 🔍 로그 수집/분석: 침입 흔적 추적 및 포렌식 대응
- 🧑💻 모의훈련: 내부 직원 대상 피싱 메일 훈련 및 대응 교육
- 📦 복구 절차 사전 정의: 랜섬 사태 발생 시, 1시간 내 조치 가능한 매뉴얼 구축
🚨 실전 팁:
보안은 ‘설정만 하면 끝’이 아닙니다. 매월 점검, 주기적 훈련, 상시 대응체계가 있어야 진짜 방어할 수 있습니다.
보안은 ‘설정만 하면 끝’이 아닙니다. 매월 점검, 주기적 훈련, 상시 대응체계가 있어야 진짜 방어할 수 있습니다.
6. 🔁 랜섬웨어 공격 흐름도
1단계: 피싱 메일, 문서 첨부파일 유입
2단계: 사용자가 실행 → 백도어 설치
3단계: 내부 네트워크 스캔 및 권한 획득
4단계: 중요 자료 암호화 및 백업 파일 삭제
5단계: 랜섬노트 및 금전 요구 (비트코인/XMR)
6단계: 유출 협박 및 대외공개
7. 🧾 최종 요약 및 대응 가이드
핵심 영역 | 요약 내용 |
---|---|
KARA 조직 특징 | 다국적, 고도화된 암호화 + 정보 유출 협박 병행 |
예스24 사례 | 이메일·로그인·주문내역 등 고객정보 노출 |
기업 대응 전략 | EDR/XDR·MFA·주기적 훈련·사전 복구 매뉴얼 |
예방 필수 체크리스트 | 백업, 이메일 정책, 교육, 로그 분석, 클라우드 권한 분리 |
📣 마무리 – 지금 보안을 점검하세요
💡 "당한 뒤에 후회하지 말고, 지금 준비하세요."
사이버 공격은 언제,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습니다.
랜섬웨어 방어는 기술이 아닌 ‘습관과 체계’입니다.
- ✅ 내부 보안 정책을 문서화했나요?
- ✅ 백업은 몇 시간 전까지 가능하게 구성했나요?
- ✅ 직원 보안 교육은 마지막으로 언제 시행했나요?
지금 이 블로그에서 얻은 체크리스트만 따라도,
랜섬웨어의 90%는 사전에 막을 수 있습니다.